제1조 (목적)
본 논문 투고규정의 목적은 개혁주의 설교학회 학술지 「더 프리칭」 투고원고에 대한 투고자의 자격과 의무 및 투고논문의 작성과 구성, 인용문헌의 표기 방법 등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있다.
제2조 (투고자의 자격과 기본 의무)
가. 본회에 회원으로 가입하고(입회비: 50,000원), 정기적으로 회비(연회비: 30,000원)를 납부하며, 정기학술대회나 신학포럼에 연 1회 이상 참석한 자는 누구든지 본 학술지에 투고할 수 있다. 단, 해외에 거주하거나 특별한 상황으로 정기학술대회나 신학포럼에 참석하지 못한 경우 이를 편집위원회에 고지하고 편집위원회의 양해 아래 투고할 수 있다.
나. 본 학술지에는 논문제안서심사를 통과한 박사과정 학생 이상에게 투고를 허용한다. 다만 석사과정 중이거나 석사학위자는 교수의 추천을 통해 투고할 수 있다.
다. 본 학술지에 투고되는 논문은 교육부의 『연구윤리를 확보를 위한 지침』의 제3장 및 본 학회 『연구윤리규정』 제2조 제①항이 규정하는 “연구부정행위” 즉 위조, 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자료의 중복 사용(이중 게재)에 저촉되지 않아야 한다. 논문심사통과 또는 출판 이후라 하더라도 연구윤리부정행위가 판명되면 본 학회 연구윤리규정에 의하여 2년간 본 학회지에 대한 투고 및 게재를 제한한다.
라. 투고되는 논문은 본 학술지가 정하는 논문작성 규정을 명확하게 지켜야 하며, 투고 원고가 규정에 현저히 위반되는 경우 편집위원장은 논문에 대하여 수정을 요구하거나 논문접수를 취소할 수 있다.
마. 투고자는 투고하는 논문에 자신의 소속과 직위를 정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 책임저자와 공동저자의 구분을 명시하여야 한다.
바. 투고자는 원문과 심사용 원고를 함께 본 학회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하여 출판 2개월 전에 접수해야 한다.
사. 투고자는 온라인논문시스템을 통하여 논문을 접수할 때 연구 윤리 준수사항 및 저작권이양동의서의 내용을 읽고 동의를 입력해야 한다.
아. 제출된 논문은 KCI 논문유사도 검사나 기타 표절검색검사를 실시하며, 문제가 있는 경우 편집위원장은 게재를 취소할 수 있다.
제3조 (논문의 작성과 구성)
가. 원고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괄호 안에 한자나 고전어 및 현대 외국어를 사용한다(원고 성격에 따라 예외를 인정한다). 따라서 지명과 그 밖의 고유명사는 한글로 쓰고, 원자(原字)는 처음 1회에 한하여 괄호 안에 밝힌다. 단 인명은 원자를 기재한다. 예: John Calvin(1509-1564).나. 논문의 분량은 통상 A4 용지 10-15매 전후로 한다. 심하게 분량을 초과한 논문은 접수하지 않을 수 있다.① 용지 종류 및 여백: A4, 위쪽 35mm, 오른쪽 및 왼쪽 30mm, 아래쪽 30mm
② 글자 모양 및 크기: 신명조, 바탕, 함초롬바탕 10포인트 (단, 각주는 9포인트)
③ 줄 간격: 160%다. 논문의 구성은 국문초록(주제어 포함), I. 들어가는 글, II. 펴는 글(1. -> 1) -> (1) 순서로 기술), III. 나가는 글, 참고문헌(한글저자-외국저자순서), 영문초록(키워드 포함)으로 한다.
라. 주(註)는 각주를 사용한다. 각주에는 저자명, 역자 명, 책 또는 논문의 제목, 학술단체명, 학술지명, 발행지, 출판사 등과 같은 서지사항을 확실히 표기한다.
제4조 (성서번역본의 인용)
가. 성서의 텍스트 인용은 “개역개정판”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되, 그밖에 다른 번역본이나 자신의 개인 번역을 사용할 경우 이를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나. 성서 텍스트의 인용 표기법은 다음의 범례에 준한다: 창 1:1-2:3; 시 110:1-3; 암 5:2-4; 마 3:1-4; 막 4:9, 13, 5:1-3; 롬 12:1-2; 엡 4:3, 5:6-7. (전체적으로 표기할 경우는 창세기 26장 5절-8절, 마태복음 28장 19절-20절)
제5조 (초록 작성)
가. 본 학술지에는 국문과 영문으로 초록을 작성해야 하며, 논문의 심사와 편집에 있어 초록의 질적 수준에 높은 비중을 둔다. 초록은 논문의 논지와 내용을 적정하게 압축해야 하며, 초록의 길이는 국문초록과 영문초록을 합해 A4 용지 1매 정도를 권장한다.
나. 국문초록은 논문 제목과 투고자 성함 다음에 위치하며, 국문초록 바로 아래에 5개 이상의 주제어(한글)를 제시한다.
다. 영문초록은 논문 마지막에 위치하며, 영문초록 바로 아래에 5개 이상의 Key words(영어)를 제시한다.
제6조 (문헌 인용의 방법)
다른 문헌의 내용을 인용하거나 논증의 참고자료를 제시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방식에 의하고, 각주에 그 출처를 밝혀야 한다.
가. 인용 내용이 4줄 이상일 경우 별도의 문단으로 인용하고, 본문과 구별하여 인용 문단 위아래를 한 줄씩 띄우고, 글자크기는 9포인트, 그리고 양쪽 여백은 30pt로 한다.
나. 인용 내용이 많지 않은 경우, 인용 부호(“ ”)를 사용한다.
다. 인용 내용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경우, 생략부호(…)를 사용하고,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표시([ ])를 한다.
제7조 (표 및 그림의 표시)
표와 그림은 <표 1>, <그림 1>의 방식으로 일련번호와 제목을 표시하고, 표와 그림의 오른쪽 아랫부분에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제8조 (특수문자)
본문과 각주 속에 인용 처리된 헬라어와 히브리어 단어/문구/문장은 원문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한글로 음역한 후 원어를 괄호 안에 표기할 수 있다.
제9조 인용 문헌의 표기
인용 문헌의 표기
가. 인용 문헌이 단행본인 경우, 저자, 서명, 판수, 발행지: 출판사, 출판연도, 면수의 순서로 기재한다. 외국어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동양어 단행본은 쌍꺽쇠 괄호(『 』)로 제목을 묶는다. 단행본을 제외한 학술지 잡지, 신문명, 연구보고서 등의 경우에는 홑꺽쇠(「 」)로 제목을 묶는다.예) Ron Nicholas &Steve Barker, Good Things Come in Small Groups: The Dynamics of Good Group Life, 신재구 역, 『소그룹 운동과 교회성장』(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5), 51-58./ 안경승, “목회상담자의 영성,” 「복음과 실천신학」 18 (2008): 309-336.
나. 저자가 두 명 이상인 경우, 저자명 사이에 한글저자는 ·(가운데 점), 외국저자는 and 또는 &를 표시하고, 인용 문헌이 여러 개인 경우 각각의 문헌 사이에 세미콜론(;)을 표기하여 구분한다.
다. 인용 문헌이 논문인 경우, [저자, “서명,” 「학술지/잡지명」 권수 (출판연도): 해당 쪽.]의 순서로 기재한다. 서명 및 잡지명은 그 명칭의 전부를 기재한다. 단, 외국문헌의 경우 처음에는 그 전부를 표기하고, 이후부터 약어로 기재할 수 있다. 예) 조광호,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 이해,” 「신약논단」 10 (2003): 965-993./ Luke Timothy Johnson, “The Mirror of Remembrance (James 1:22-25),” CBQ 50 (1988): 636-638.
라. 편집지 논문일 경우 편집자 편, 혹은 in 책명을 논문 제목 뒤에 기입한다. 예)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 『이상문학수상 작품집』, 문학사상가 편 (서울: 문학사상사, 1977), 114./ Robert D. Knudsen, “Calvinism as a Cultural Force,” in John Calvin: His Influence in the Western World, ed. W. Stanford Reid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82), 13-14.
마. 학위 논문일 경우 각주에서는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연도), 해당쪽]을 기재한다. 예)강원규, “대조를 통해 청중을 변혁으로 이끌기 위한 내러티브 본문의 설교 연구: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2022), 29./ G. N. Hansen, “John Calvin and the Non-literal Interpretation Scripture” (Ph. 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8), 15.
참고문헌에서는 다음과 같다. 예)강원규. “대조를 통해 청중을 변혁으로 이끌기 위한 내러티브 본문의 설교 연구: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2022./ Hansen, G. N. “John Calvin and the Non-literal Interpretation Scripture.” Ph. D. diss.,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8.
바. 인터넷에 게재된 단행본이나 논문일 경우 일반적인 형식에 <인터넷 사이트>와 접속 연월일을 덧붙인다. 예)정일웅, “최근 중동세계의 정치변화와 이슬람 선교,” 「신학지남」 통권 제309호 (2011): 30,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1739977>, 2023년 2월 3일 접속./ William R. Cannon, The Book of Acts (Nashville:Upper Room Books, 1989), 50, <http://www.religion-online.org/showbook.asp?title=693>, accessed 1 Feb. 2023.
사. 학술발표 자료는 [학회 명, 발표지, 발표연원일]을 기입한다. 예)이관직, “에스더서 등장인물들에 대한 심리분석” (실천신학 교수 학술발표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년 11월 10일), 7.
강의안은 [과목 명, 강의개설학교명, 해당학기]를 기입한다. 예)정훈택, “공관복음” (공관복음,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년 1학기), 38.
아. 같은 문헌을 여러 차례 인용할 경우, 처음에만 전체 문헌정보를 기재하고, 두 번째부터는 출판도시, 출판사, 연대 등을 기재하지 않으며, 제목을 약식으로 기재한다. 예) 오우성, 『데살로니가전‧후서』, 125./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223.
자. 바로 앞의 각주에서 인용한 문헌을 그 다음 각주에서 다시 인용할 경우에도 ibid를 사용하지 않고, 저자명(외국저자는 성만 표기)과 제목명을 표기한다. 예) Fitzmyer, The Gospel and Letters of John, 71.
차. 같은 저자의 여러 책을 연속으로 인용할 경우에도 idem 사용하지 않고, 저자의 이름(외국저자는 성만 표기)과 서지사항을 표기한다.
카. 같은 문헌을 여러 차례 인용할 경우, 처음에만 전체 문헌정보를 기재하고, 두 번째부터는 출판도시, 출판사, 연대 등을 기재하지 않으며, 제목을 약식으로 기재한다. 예) 오우성, 『데살로니가전‧후서』, 125./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223.
타. 학위 논문일 경우 각주는 저자, “논문 명” (학위, 학교, 연도), 해당 쪽 순으로 기재한다. 예) 이상웅, “조나단에드워즈의 성령론 연구” (철학박사학위, 총신대학교, 2008), 28.
파. 각주에서 인용 처리한 모든 문헌은(반드시 이 문헌들에 한하여) 논문 뒤에 참고문헌으로 기재하되, 한글 목록 먼저 가, 나, 다 순으로 정렬한다. 그 뒤에 외국어 목록은 알파벳순으로 기재하되, 각주의 경우와 달리 필자 또는 저자의 성(family name)을 먼저 쓰고 본명을 그 다음에 쓴다. 아울러 참고문헌은 괄호를 풀고 일부 컴마( , )를 마침표( . )로 바꾼다. 예) Nicholas, Ron & Barker, Steve. Good Things Come in Small Groups: The Dynamics of Good Group Life; 신재구 역. 『소그룹 운동과 교회성장』.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5./ 안경승. “목회상담자의 영성.” 「복음과 실천신학」 18 (2008): 309-336.
제10조 (저작권)
1.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은 논문저자에게 있으나, 저작권자가 동의하는 경우에 한하여 개혁주의설교학회에 귀속된다.
제11조 (논문게재료)
본 위원회에서는 본 학술지의 원활한 출간을 목적으로 소정의 게재료를 책정하여 투고자에게 분담시킬 수 있다.
가. 투고논문 게재료: 편당 30만원 (5권 무상 증여)
나. 각종 연구비를 지원 받은 논문 게재료: 편당 40만원(단, 한국복음주의 신학대학 협의회 연구과제 논문은 제외한다. 5권 무상 증여)
다. 투고논문을 조판(B5 혹은 변형 국판)하였을 때, 30쪽을 초과한 논문은 쪽당 5,000원을 추가한다.
부칙
위의 지침은 2022년 12월 12일부터 시행한다.
[각주 양식의 예]
1) 한글 저자 서적의 경우
양금희, 『이야기, 예술, 기독교교육』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10), 5-6.
다시 인용할 때,
양금희, 『이야기, 예술, 기독교교육』, 12.(ibid 사용 안 합니다)
2) 외국 저자 서적의 경우
Bard Thompson, Liturgies of the Western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1), 15-23.
다시 인용할 때,
Thompson, Liturgies of the Western Church, 119-121. (동일하게 인용할 때는 저자의 성만 표기함)
M. J. Quicke, 360-Degree Preaching: Hearing, Speaking, and Living the Word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3), 81-83.
다시 인용할 때,
Quicke, 360-Degree Preaching, 201-211.(ibid 사용 안 합니다, 아울러 동일저자의 다른 책의 경우 idem도 사용 안 합니다)
3) 한글 저자 논문의 경우
주종훈, “예배, 문화, 그리고 신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예배신학의 새로운 발전,” 「복음과 실천신학」 27 (2013): 53-56. (정기간행물의 경우 콤마 아니고 : )다시 인용할 때, 주종훈, “예배, 문화, 그리고 신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예배신학의 새로운 발전,” 79-81.
4) 외국 저자 논문의 경우
A. Scott Moreau, “Hoekendijk, Johannes Christiaan,” in Evangelical Dictionary of World Missions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2000), 447.
다시 인용할 때,
Moreau, “Hoekendijk, Johannes Christiaan,” 350-357.
5) 번역 서적의 경우
Leslie Newbigin, The Other Side of 1984: Questions to the Churches; 서정운 역, 『서구 기독교의 위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7), 25.
다시 인용할 때,
Newbigin, 『서구 기독교의 위기』, 209-225.
6) 공동저자, 번역, 편집의 경우
George Hunsberger, “Acquiring the Posture of a Missionary Church”, in The Church Between Gospel and Culture, eds. George Hunsberger and Craig Van Gelder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996), 289-290.
Louise Bouyer, Rite and Man: Natural Sacredness and Christian Liturgy, trans. M. Joseph Costelloe (Notre Dame: Notre Dame Press, 1963), 65.
Darrell L. Guder ed., Missional Church. A Vision for the Sending of the Church in North America (Grand Rapids: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8), 1-17.
(공동저자나 편집의 경우는 and 또는 &를 사용해도 되지만, 한 논문 안에서는 통일시켜야 함)
최희정ㆍ이인수,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7 (2009): 175-194.
Lawrence J. Crabb, Jr & Dan B. Allender, Encouragement: The Key to Caring; 오현미ㆍ이용복 역 「격려상담」 (서울: 나침반 출판사, 1986), 10.
(한글공동저자나 한글공동번역은 가운데 점(ㆍ)으로 표기하고 모든 저자를 표기함)
7) 신문이나 인터넷 인용의 경우
구영모, “윤리적 관점에서,” 서강대학교 개교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인간복제와 생명의 존엄성 (2000년 11월 16일), 「문화일보」 (2000년 11월 20일자 A3면).
구영모, “윤리적 관점에서,” 서강대학교 개교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인간복제와 생명의 존엄성, <http://biozine.kribb.re.kr/study/kis2000-11-19.html> 2005년 3월 8일 접속.
강원규, “대조를 활용한 내러티브 본문에서의 설교 방법 연구: 사무엘상 17장을 중심으로,” 「복음과 실천신학」 제64권 (2022): 24, <http://www.kept1997.kr/sub/sub0301.html?journal=1&year=0&search Type=author&searchValue=%EA%B0%95%EC%9B%90%EA%B7%9C&x=10&y=6>, 2023년 5월 7일 접속.
8) 학위 논문의 경우
Kyeong Jin Kim, “The Formation of Presbyterian Worship in Korea, 1870-1934” (Th. D. Diss., Boston University, 1992), 101.
다시 인용할 때,
Kim, “The Formation of Presbyterian Worship in Korea, 1870-1934,” 108.
박진석, “설교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소 Noise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8), 290-293.
9) 학술대회 자료집의 경우
박진석, “히브리서, 무엇보다 뛰어나신 그리스도” (개혁주의 설교학회, 「제13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22년 12월 12일), 109-136.